
【중국동포신문】 일부 언론사에서는 매출 70~90%가 감소했다고 하는데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며 여행사대표들의 목소리다.
2020년 02월부터 여행사들의 흔적은 이렇다.
지난 2월부터 국외 여행을 할 수 없게 되자 정부는 취소 수수료를 받지 말고 환급하여 주라며 독려하였지만 여행사들은 그동안 지켜온 고객을 지키기 위해 카드 취소대금부터 일반대출 카드대출 등으로 빛을 내어 취소하여 주었다.
그러나 카드대금과 대출금은 3월부터 돌아오기 시작하여 많은 여행사들은 다가오는 거액의 카드대금을 막지 못해 연체와 독촉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 3월부터 정부는, 융자제도를 내놓았으나 연체된 여행사들은 정부융자는 그림의 떡 이였다. 연체된 여행사들은 대출은 절대 못 받고 국세, 지방세, 4대 보험이 체납된 상태다. 3개월 후부터는 임대료를 내지 못해 많은 여행사들은 방을 빼는 사태와 자동차까지 팔아가며 다급한 생계를 유지 하였다.
이렇게 생각하지 못한 재난사태로 정부지원금이 나오는 상황이나, 제1위의 피해자는 여행사다. 그러나 정부는 여행업 지원은 캄캄하여 눈을 감는지 한국여행업협회와 한국관광업 중앙회가 존재하나 여행사의 고충에 관심이 없다며 회원사들의 목소리다.
많은 여행사들은 온종일 사무실에 있어도 전화 한 통 없고 손님 하나 없는 썰렁한 사무실을 감당을 못해 모든 여행사가 도산하고 있는데 정부에서 지원금을 준다 해도 이들에게는 아무 소용없다. 이미 코로나로 인해 신용불량자가 된 상태이며, 정부융자는 신용불량자가 되여 단돈 1원의 융자를 못 받지만, 여유가 있어 연체를 안 하는 여행사들만 융자를 받을 수 있는 제도로 변했다.
많은 여행사대표들의 현장 목소리다.
여행업은 집합금지 대상도 아닌데 100만 원 준다고 하나 이미 도산한 여행사는 100만 원도 받지 못하고 있다.
연체와 체납된 여행사 대표들은 정부융자를 어떠한 조건에서도 받을 수가 없는 상태로 정부 융자는 그림의 떡이며 여행업 협회는 담보가 있으면 대출을 받을 수가 있다며 문자를 보내지만 영세 사업장들은 담보도 없고 코로나로 신용도 없어 모두 도산 상태다.

정부에서 지원금을 주는 재앙사태에서 다른 업종은 영업이라도 할 수 있지만, 여행업들은 매출 0원이라 금융거래를 도저히 해결할 수 없어 포기하였다. 여행사들의 현장 목소리는 코로나 때문에 발생한 기간에 “연체와 신용불량 세금체납 기록을 삭제하여 달라”며 많은 여행사대표들은 힘없는 목청을 크게 내고 있다.